상단영역

본문영역

정부, 2050년까지 수송 탄소배출량 1천만톤 이하로 감축. 산업계, “지원책 마련해야”

  • 기사입력 2021.11.18 11:00
  • 최종수정 2021.11.18 12:03
  • 기자명 박상우 기자
이민우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과장이 심포지엄에서 발표하고 있다.

[M오토데일리 박상우 기자] 정부가 2050년까지 수송부문의 탄소배출량을 1천만톤 이하로 감축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에 산업계는 정부 목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18일 '탄소중립,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주제로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컨벤션홀에서 '2021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18일부터 20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1 국제그린카전시회’의 식전 행사로 개최됐으며, 주제발표와 패널 토론, 질의/응답 세션으로 구성, 진행됐다.

주제발표는 미래자동차 확산 및 시장선점 전략(이민우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과장), 2050 탄소중립 및 2030 NDC(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상향이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김용원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상무)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진 패널 토론은 채영석 한국자동차기자협회 고문(글로벌오토뉴스 국장)을 좌장으로, 주제발표자와 김태년 미래모빌리티연구소장이 참여해 정부의 친환경차 정책 방향과 자동차 업계의 대책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날 이민우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과장은 "친환경차 수요/공급 혁신을 통해 전기차 및 수소차 보급을 가속화하고, 2050 탄소중립 실현에 박차를 가할 필요가 있다"고 밝히면서 "미래차 부품 기업 1,000개 육성 등 미래차 중심의 산업 생태계로의 공정한 전환 추진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2050년까지 수송부문 탄소배출량을 1천만톤 이하로 낮출 계획이다. 2018년 기준 수송부문 탄소배출량은 9,810만톤이다. 이를 위해 2가지 방안을 마련했으며 5년마다 기술 수준과 여건 등을 고려해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확정할 계획이다.

첫 번째 안은 무공해 차량을 중심으로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것으로 전기차 80% 이상, 수소차 등 대안 17% 이상 총 97% 이상을 친환경차로 전환해 2050년까지 280만톤까지 낮추는 것이다.

두 번째 안은 자동차 산업구조 영향을 고려해 전기차와 수소차를 85% 이상 보급하고 잔존 내연기관차(15% 미만)를 수소연료엔진, 바이오연료엔진, 이산화탄소 포집 기반 엔진 등 대체연료를 활용하는 차량으로 전환해 920만톤까지 낮추는 것이다.

그 일환으로 2030년까지 수송부문의 탄소배출량을 2018년 대비 37.8% 감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전기차 362만대, 수소차 88만대, 하이브리드카 400만대 등 친환경차를 총 850만대 보급한다.

전기·수소차 450만대 중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큰 사업용 차량과 노후차를 우선 전환하고 대중교통 이용 편의 제고 및 철도 중심 교통체계 강화 등을 통해 자가용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4.5% 감축할 계획이다.

김용원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상무가 주제를 발표하는 모습.

김용원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상무는 "전기차는 내연기관에 비해 작업 공수가 감소해 근로자는 20~30%, 부품수는 1/3 정도 감소하기 때문에 고용 감소가 불가피하다"며, "2030년 전기차 비중이 33% 차지할 경우, 10%의 기업이 사라지고 3만5천 여명의 일자리가 감소할 수 있어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수송부문 탄소배출량을 2018년 대비 37.8% 감축해 6,100만톤까지 낮춘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대중교통 이용 편의제공, 연계교통강화, 철도중심 교통체계 강화 등을 통해 주행거리를 감축하고 사업용 차량·노후차량 우선 전환 등을 통해 전기차와 수소차를 총 450만대 보급할 계획이다.

김 상무는 “NDC 상향안의 연평균 감축률은 2018년 기준으로 4.17%로 미국이 2005년 기준으로 2.81%, 유럽은 1998년 기준으로 1.98%인 것을 감안하면 주요국들보다 도전적”이라며 “또 상향안 이전 목표에 대응하기 위해 기술개발, 인력 확보, 신기술 확보 등 관련 계획을 수립했는데 모든 것을 앞당겨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산화탄소 규제, 저·무공해차 보급 목표제 등 규제 부담 완화, 완성차-협력업체 미래차 전환 협력사업 촉진을 위한 인센티브, 내연기관차 인력 재훈련 등을 통한 미래차 전문 인력 확보 대책, 미래차 전환 지원을 위한 미래차 전환 지원단(가칭) 구성 및 운영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태년 미래모빌리티연구소장은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자동차업체들은 차세대 배터리 조기 개발 및 상용화에 투자를 확대해 수익구조를 개선해야 하며, 정부 차원에서는 미래차 지원을 위한 중장기 재원 확보 방안을 마련하고,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충전기 확충 등 소비자 편의성의 획기적 개선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김대중컨벤션센터와 함께 11월 18일부터 20일까지 3일간 ‘2021년을 빛낸 그린카’ 특별관을 운영하며, 기아 EV6, 메르세데스-벤츠 더 뉴 EQA, 제네시스 GV60, 현대자동차 아이오닉5 등 올해 출시된 주요 친환경차를 전시한다.

패널토론 및 Q&A가 진행되고 있는 모습.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