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올 상반기 국내 신차 판매서 수입차·대형차·고급차만 증가세. 업체간 양극화 심화

  • 기사입력 2021.08.03 09:52
  • 기자명 박상우 기자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M오토데일리 박상우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 신차 판매에서 수입차 점유율이 급상승하면서 업체 간 양극화가 심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3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국내 상반기 자동차 판매현황을 차종별, 동력원별, 구매자별 특징 등에 따라 분석한 ‘2021년 상반기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올해 상반기 국내 자동차 판매대수는 92만4,008대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2.6% 감소했다. 지난해 국내 자동차판매 대수가 역대 최대였던 것을 감안하면 최근 3년 평균 수준을 유지해 양호한 편이다.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수요고급화, 양극화 심화에 따라 대형 SUV, 하이브리드차, 수입차 판매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SUV는 전년동기대비 52.6% 증가한 20만대, 하이브리드카는 71.3% 증가한 11.3만대로 올해 승용차 판매의 약 40%가 두 차종에 집중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최근 소득양극화에 의한 수요 고급화 확대, 캠핑 등 코로나로 인한 국내 여행 증가 등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 국산차는 6.2% 감소한 반면, 수입차는 전년동기대비 17.9% 증가했으며, 업체별 양극화도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차의 경우 현대차와 기아는 대형SUV, 하이브리드 신차 투입으로 전년수준을 유지했지만 신모델 부족 등으로 한국지엠, 르노삼성, 쌍용 등 외자계 3사는 34.9% 감소했다.

수입차는 애스턴마틴, 벤틀리, 롤스로이스 등 4억원을 넘는 초고가 수입차 판매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전체적으로 역대 최대판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휘발유·경유차는 감소가 계속됐고 전기동력차는 시장점유율이 약 두 배 확대되는 등 성장세를 이어갔다.

전기차는 수입차 위주로 시장규모가 두 배 가까이 늘어 시장점유율이 2.3%에서 4.3%로 확대됐으며 이 중 전기승용차는 2.5만대 등록돼 전년대비 51.0% 증가했는데 수입차 비중이 대수 기준으론 지난해 53%에서 올해 60%로 7%p 증가했고, 금액 기준으론 시장점유율이 7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산 급증은 수입산과 국내산 간 개소세 부과 시점 차이, 국내 완성차업체의 중고차거래 금지 등 수입산 대비 국내산 역차별, 전기차 보조금을 노리는 외국계 기업들의 공격적 마케팅 전략, 소득양극화와 수요고급화 경향 등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기버스는 전년대비 113.5% 늘어난 363대가 신규등록 됐는데, 중국산 비중도 35%에서 41%로 늘어났으나 총 20여 종에 이르는 중국산의 저가공세로 평균 판매가격은 하락세로 나타났다.

수소차 보급도 증가세이나 전년 대비 2배 가까이 늘어난 승용차와는 달리 버스는 보급사업 추진 지자체 부족, 지자체별 보조금 규모 차이, 전기차 대비 부족한 보조금 등으로 전기동력차 보급사업 중 속도가 가장 뒤처졌다.

승용차는 정부의 보급목표계획인 1만5천대 대비 30% 수준인 4,300여대가 판매됐으나 버스는 180대 보급계획 대비 13대가 신규 보급되어 계획대비 달성률이 10%를 하회 전기버스 대비 보급 속도가 매우 뒤처쳤다.

수입차 판매대수는 16.7만대로 시장점유율이 전년동기 15.0%에서 3.1%p 상승한 18.1%를 기록했고 금액으로는 30%를 넘어 역대 최대다.

국가 브랜드별 판매는 독일계 미국계, 일본계, 중국계 순이었으며, 독일계가 상반기 중 10만대 이상을 판매하며 수입차 중 1위일 뿐 아니라 내수시장 전체로도 현대/기아차에 이은 3위 규모였다. 중국계는 전기차 전 차종 확대와 고급SUV 브랜드(볼보) 판매확대로 17.8% 늘어 전년대비 증가율로는 독일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KAMA 정만기 회장은 “자동차 수요의 고급화·개성화·대형화 추세속에서 수입산 판매만 급증하는 추세는 생각해 볼 일”이라면서 “국내산 판매부진은 외자 3사의 노사갈등과 신모델 투입 부족 등 기업요인에 상당부분 기인하나, 개소세 부과시점 차이, 국내 완성차업체의 중고차거래 시장 참여 금지 등 수입산 대비 국내산 역차별 등에도 일부 기인하는 점을 감안하여 국내산이 수입산과 동등 경쟁할 수 있도록 정부가 시장여건을 개선해주는 일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