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중국산 버스 CKD 생산. 운수업체들 직수입 추진...韓 버스시장 붕괴 초읽기

  • 기사입력 2020.09.09 16:03
  • 최종수정 2020.09.11 21:44
  • 기자명 이상원 기자
중국산 저가 전기버스의 직수입, 반조립 생산이 진행되면서 전기버스 시장이 붕괴 위기를 맞고 있다. 

[M 오토데일리 이상원기자] 전기차 제조업체들의 모임인 한국전기차협동조합은 지난 8월 국민의 힘 소속 홍석준 의원(대구 달서 갑) 등 몇몇 국회의원들에게 ‘전기버스 보조금 제도’를 개선해 달하라는 요청서를 보냈다.

요청서는 전기버스에 대한 보조금이 국내산과 외국산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금액으로 지급됨에 따라 가격이 크게 낮은 외국산 전기버스 보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내용이다.

현재 저상 전기버스 보조금은 저상버스 보조금 9천만 원과 친환경차 보조금 1억 원, 그리고 지자체보조금 최대 1억5천만 원이 지급되고 있다.

환경부의 전기버스 보조금 지급 대상 대형 전기버스는 총 40종으로, 이 중 중국산이 25종, 국내산은 15종으로 중국산이 훨씬 많다.

중국산 전기버스 점유율은 2020년 상반기 기준 38%에 달하고 있으며, 승용차는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상반기 승용 전기차 보조금 중 43%(900억 원)를 차지했다. 반대로 국내업체들은 판매량이 전년 같은기간에 비해 43%나 감소했다.

전기차 보급확대를 위해 책정한 정부예산의 절반 가까이가 외국산 전기차 구매에 쓰이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국내 업체들은 국내산과 외국산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을 차등 지급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으나 정부는 무역 분쟁 등을 이유로 균등하게 지급한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업계의 수 차례에 걸친 건의에도 정부가 도통 움직이지 않자 마지막으로 국회의원들에게 호소를 하고 나선 것이다.

실제로 정부의 국산. 외국산 균등정책(?)으로 중국산 전기차의 국내시장 잠식은 심각한 수준이다.

국산 전기버스 가격을 기준으로 책정된 저상 및 전기버스 보조금이 저가의 중국산 저상 전기버스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자 운수업체들은 중국산 저상 전기버스를 구입할 경우 자체부담 없이 보조금만으로 구매가 가능해지면서 중국산 버스만 찾고 있다.

전기차협동조합에 따르면 중국산 저상 전기버스의 평균 수입원가는 약 2억3천만 원, 평균 판매가격은 2억7천만 원에서 최대 3억3천만 원으로, 동급의 국산 전기버스보다 1억 원 이상 저렴한 것으로 파악됐다.

중국산 버스를 도입, 판매하는 총판들이 중국산 완성차를 공급하면서 3-5천만 원의 마진을 챙기고도 국산버스보다 1억 원 이상 싸게 공급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이점 때문에  129대가 걸린 하반기 서울시 전기버스 입찰에서도 중국 업체들이 돌풍을 일으킬 조짐을 보이고 있다. 

게다가 일부 운수업체들은 아예 중국산 전기버스를 직수입해 운행하는 사례도 생겨나고 있다.

2천대 가량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는 수도권 A운수는 중국 전기버스 수십 대를 직접 들여와 운행 중이며, 최근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B 운수회사도 중국 킹롱 버스를 직수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운수업체들이 중국산 버스를 직수입할 경우, 수입 대행사에서 챙기는 수수료까지 아낄 수가 있어 국산 전기버스에 비해 최대 1억5천만 원 이상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이 가능하다.

운수업체들의 직수입이 늘어나게 되면 현대차, 에디슨모터스, 우진산전 등 국내 버스업체들의 전기버스 판매는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에디슨모터스와 썸글로벌 등 일부 버스업체들은 중국산 전기버스를 반조립(CKD) 형태로 국내에 들여와 한국산으로 조립 판매하는 방식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으며, 현대차를 제외한 나머지 버스업체들도 국내 제작을 포기하고 중국산 버스의 CKD 조립을 검토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산 전기버스의 CKD 도입은 국내 전기버스업계의 붕괴로 이어질 것이지만 현재의 정부 보조금 방식 하에서는 생존을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