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연 2천억 대 전기버스시장 중국산에 잠식. 국고.지자체 보조금만 대당 3억원. 현대차도 손 놓고 지켜볼 뿐

  • 기사입력 2020.07.27 12:00
  • 최종수정 2020.08.10 10:18
  • 기자명 이상원 기자
중국산 전기버스가 국내 전기버스 시장을 빠르게 잠식해 들어오고 있다.

[M 오토데일리 이상원기자] 수도권지역에서 2천여 대의 노선버스를 운영하는 ㅅ 운수는 현재 100여 대 가량의 전기버스를 운행 중이다.

이 회사는 현대자동차와 에디슨모터스, 우진산전 등의 국산차 업체들을 제쳐두고 지금까지 전량 중국산 전기버스만 구입, 운행하고 있다.

이 회사 뿐만 아니라 강원도 지역 운수업체들도 대부분 중국산 전기버스를 구입하는 최근들어 등 중국산 전기버스 구매업체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중국산 전기버스를 구입하는 이유는 가격이 한국산보다 1억 원 이상 저렴하고, 성능도 쓸만하다는 평가가 나오기 때문이다.

2020년 6월 현재 전국의 전기버스 등록대수는 현대차가 332대, 에디슨모터스가 254대, 우진산전이 76대 등 660여대이며, 중국산은 하이거가 75대, 중통버스가 63대, 포톤버스가 56대, BYD가 24대, 제이제이모터스가 15대 등 총 251대로 전체의 27.6%를 점하고 있다.

하지만 올 상반기에는 전체 등록대수 181대 중 중국산은 70대가 등록, 점유율이 38.7%까지 치솟았다.

국내 전기차 시장 점유율 50% 고수를 목표로 하고 있는 현대차는 겨우 50대로, 점유율이 27.6%에 그쳤으며 에디슨은 38대로 21.0%, 우진산전은 23대로 12.7%에 그쳤다.

전기버스 업계 관계자는 “현재의 방식대로 버스 구매가 진행된다면 2-3년 내에 중국산이 국내 전기버스 시장을 모두 장악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단언했다.

서울시 등 전국 지자체들은 기존 CNG나 디젤버스를 전기버스로 전환하기 위해 연간 500대 이상씩 전기버스를 발주하고 있다.

서울시 기준 전기 노선버스의 대당 가격은 약 4억 원으로, 연간 구매예산은 약 2천억 원에 달하고 있으며, 이 중 대당 2억5천만 원. 총 1,250억 원 가량이 정부의 국고지원금 및 지자체 예산으로 충당되고 있다.

친환경 버스 도입을 위해 책정된 혈세가 대부분 중국산 버스 구입에 사용되고 있는 셈이다.

버스업체들이 중국산 버스를 선호하는 이유는 구매 가격 때문이다. 중국산 전기버스는 대략 2억 원 내외로 국내에 도입, 3억원대 초반 수준에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반면, 현대차와 우진산전 등 국산 전기버스의 공급가격은 3억7-8천만 원 정도로, 중국산 버스와는 많게는 1억원 이상 차이가 난다.

국내 총판업체가 싼 중국산 버스를 들여와 1억원 가까운 마진을 남겨 먹더라도 가격면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셈이다.

중국산과 한국산 전기버스 가격이 이처럼 큰 차이가 나는 이유는 전기모터, 인버터, 배터리 등 전기차의 핵심 부품가격 차이 때문이다.

현대차는 전기모터를 계열사인 현대로템에서 개발, 사용중이지만 결함이 속출하면서 감속기와 함께 다시 개발작업을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 에디슨과 우진산전은 지멘스 등으로부터 전기모터 등 거의 전 부품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핵심부품인 전기모터와 인버터, 감속기 등에서 중국산이 국내보다 거의 절반 가량 저렴하다는 분석이다.

가장 가격대가 높은 배터리의 경우도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삼성 SDI의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사용중이지만 리튬인산철이 같은 리튬폴리머배터를 장착하고 있는 중국산에 비해 거의 2배 가량 가격이 비싸다.

특히, 가격대가 저렴한 리튬인산철 배터리는 국내 배터리업체들이 생산하고 싶어도 BYD나 CATL의 특허에 묶여 있어 생산이 불가능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중국산 부품이 싼 이유는 십 수년 전부터 중국정부의 대대적인 지원하에 전기차 부품업체들을 육성해 왔기 때문이다. 게다가 수요가 엄청나게 늘어나면서 공급가격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반면, 국내에는 대형버스와 트럭용 전기모터나 인버터 등을 생산하는 업체가 전무하다. 기본적으로 수요가 없었던 데다 정부도 완성차에 대한 구매 지원금만에만 관심을 가질 뿐, 부품업체 육성에는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아 왔다.

버스업계는 "정부와 지자체가 국산차와 중국산 버스에 동일하게 보조금을 지급하는 한 국산버스가 중국산에 밀려나는 건 시간문제"라며 "전기버스 보조금제도의 재검토가 시급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전기버스에는 환경부 지원금 1억 원, 국토부 5천만 원, 지자체 5천만 원 등 대당 2억 원이 지원되며, 저상버스는 지자체가 추가로 1억 원을 지원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앙정부 지원금을 중국산 버스에만 중단할 경우, 중국과의 통상마찰이 우려되지만 지자체 지원금은 차별 지원할 수 있다"며 정부 및 자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책을 촉구하고 있다.

또, 지금이라도 국내 전기차시장 보호를 위해 부품산업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