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수소산업이 미래 모빌리티산업 이끈다’. 각국 수소시장 선점경쟁 치열

  • 기사입력 2020.07.06 17:33
  • 최종수정 2020.07.06 17:39
  • 기자명 이상원 기자
7월 1-3일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수소모빌리티쇼

[M 오토데일리 이상원기자] 독일 정부와 업계가 최근 들어 수소기술 개발에 정신을 쏟기 시작했다.

독일정부는 지난 6월 ‘국가 수소 전략’을 발표했다. 코로나19 사태 회복 예산에 무려 10조원이 넘는 금액을 수소분야에 투자키로 했다.

재생에너지 확대 전략과 병행, 수소기술 개발을 통해 2030년 이후 세계 수소경제 패권을 잡는다는 계산이다.

페터 알트마이어(Peter Altmaie) 독일 경제장관은 국가 수소 전략에서 “독일은 수소기술에서도 세계 최고가 될 것이라며 수소산업 부흥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독일 뿐만 아니라 프랑스와 네덜란드 등 유럽 국가들과 미국. 캐나다도 수소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들은 수소산업에서 현재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한국과 일본, 중국의 수소경제 선점을 막아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

현재 동북아 3국은 수소차 상용화에 가장 앞서 있다. 프랑스 가스회사 에어리퀴드의 어윈 펜포니스 부회장은 "한. 중. 일은 정부의 수소경제 육성 의지가 확고하고, 정부 주도로 수소산업을 이끌고 있다"고 지적하고 "수송분야는 현대자동차와 토요타 등이 선점하고 있고 세계 최대 수소 생산량을 자랑하는 호주가 수소 생산기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진이 만든 탄소섬유 수소연료탱크 

서울 수소모빌리티쇼에 참석한 세계 수소 전문가들은 수소는 장거리용 대형트럭 부문에서는 확실히 전기차보다 충전시간이나 주행거리 측면에서 훨씬 효율적이라는 사실이 확인됐기 때문에 트럭이나 버스 등 상용차 외에 선박이나 건설기계. 드론, 항공기 등에도 수소연료가 전기차를 압도할 것으로 예상했다.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충전, 수송인프라와 전기차에 비해 2배 가까이 비싼 제작비용에도 불구, 대형. 장거리용 운송수단은 수소연료전지. 단거리나 승용차는 전기차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는 것.

수소경제 인프라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정부주도의 민관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수소 에너지 생산기술과 운송 및 저장 기술 확보및 인프라 구축, 그리고 운송수단 생산 및 보급이 동시에 진행돼야 한다.

한국은 현대자동차의 넥쏘, 수소버스 등의 글로벌 판매에 힘입어 지난해 일본을 제치고 수소차 판매 세계 1위에 올랐고 충전소 설치도 20개소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국가로 기록됐다.

하지만 여전히 수소산업은 초보단계다. 정부 보조금이 없으면 올 스톱될 정도로 수소차 가격은 턱없이 비싸고(수소버스 대당 8억 원), 충전소도 상용(60억 원), 승용(30억 원)에 달하는데다 충전소 부지 확보도 쉽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료전지 스택에 사용되는 값비싼 금속의 대체기술 개발이 필요하고 수소저장탱크의 경량화와 가격인하도 선결과제다.

또 현재 부생수소에 의존하고 있는 수소의 안정적인 공급선 확보와 각종 수소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한 부품기업 육성도 시급한 과제다.

수소의 활용수단 외에 수소의 생산과 저장, 운송부문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수소연료 공급계획은 오는 2022년까지 석유화학 정제과정에서 나오는 부생수소로 수요를 충당하고, 2025년까지는 LNG(액화천연가스) 개질을 통해 추출수소 얻는다는 계획이다.

또, 2030년까지 제주 풍력, 새만금 태양광 등과 연계한 수소생산기지를 구축, 청정 수소를 생산하고, 2050년에는 수소운반선을 통해 해외에서 들여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로드맵이 10년 이상 장기 연결 프로젝트인데다 이 기간 동안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기 때문에 정권교체에 따라 정책 자체가 흔들릴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때문에 근간을 탄탄히 할 수 있는 대책도 사전에 미리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