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뉴 모빌리티 핵심 소재로 부상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기사입력 2020.06.10 11:32
  • 기자명 이상원 기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뉴 모빌리티의 핵심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M 오토데일리 이상원기자] 고전압커넥터, 쿨링파이프, 모듈세퍼레이터, 엔드플레이트, 타이로드, 스페이서, 부시바홀더.

다소 생소한 이 이름들은 전기차용 고전압배터리에 들어가는 부품들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플라스틱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전기차와 수소연료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을 대체하는 미래형 이동수단으로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이는 시험단계를 이미 넘어 시장형성 단계로 들어선 상황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추가적인 기술개발에 대한 과제들은 남아 있다.

그 중에서도 관건이 되는 것은 단연 배터리 관련 기술이다.

배터리 용량을 키워 최대 주행가능거리를 늘리면서도 무게는 가벼워야 하고, 단선이나 합선, 외부충격으로 인한 폭발 및 화재위험성도 최소화해야 한다.

이같은 상황에서 플라스틱으로 전기차용 부품을 만든다는 것이 의문스러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은 열과 압력에 취약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일례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자동차 경량화 소재 대표주자격인 폴리아미드(Polyamide, PA)는 금속보다 가벼우면서도 금속과 동등한 수준의 높은 강성과 내열성을 발휘하고 마찰마모성, 인장강도, 내화학성, 난연성이 우수하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사용 환경이 요구하는 각종 물성이 강화된 고성능 플라스틱이다.

앞서 언급한 폴리아미드(PA)부터 전기적 특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원재료인 플라스틱매트릭스에 유리섬유를 보강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탄소섬유를 더해 강성을 높인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등도 모두 엔지니어링플라스틱에 속한다.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이 전기차와 같은 뉴모빌리티 부품 소재로 각광받는 이유는 가공성이 뛰어나고 금속으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기계적, 화학적 물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기차 부품은 높은 강성을 기본으로 화재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난연성, 화학물질로 인한 손상을 억제하는 내화학성, 전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절연성 등 다양한 물성을 필요로 한다.

전기차 내부에서 흐르는 고전압전류를 효과적으로 절연하고, 배터리의 전해액이나 냉매와 접촉시에도 우수한 강성과 강도를 유지하며, 화재발생시 화염의 전파를 방지하거나 최대한 늦출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까다로운 요구조건을 충족할 뿐 만 아니라, 다양한 이점도 제공한다. 폴리아미드는 뛰어난 내열성과 강성으로 높은 하중요건과 화재안전성을 제공하면서 설계자 유도가 높고 사출성형이 용이해 복잡한 부품을 제작하는 것도 수월하다.

PBT는 전기절연성, 내트래킹성 등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고 치수안정성이 높아 고열환경에서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부품을 생산할 수 있다.

독일계 특수화학기업 랑세스는 뉴모빌리티가 요구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공급하고 있는 글로벌 선두 공급사다.

랑세스의 폴리아미드기반 듀레탄은 배터리 쿨링파이프나 셀스페이서에 적용돼 지속되는 발열에도 우수한 내구성을 자랑하며, 배터리매니지먼트 콘트롤러 제작에 적합한 포칸은 우수한 난연성과 내화학성을 기반으로 극한의상 황에서도 오작동 등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한다.

테펙스는 배터리하우징이나 커버 등에 적용되어 뛰어난 충격흡수 능력과 무게절감 효과를 발휘한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뉴모빌리티의 경량화에도 효과적이다.

전기차나 수소연료전기차는 대개 내연기관차량 대비 수백kg 가량 무겁다. 차체 바닥에 자리잡은 대용량배터리 무게 때문인데 이는 주행가능거리를 확장하는 면에서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를 상쇄하기 위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복합소재를 사용하면 부품에 따라최대 50% 이상까지무게를절감할 수 있다.

랑세스 테펙스로 만든 시트프레임은 동등한 수준의 강성을 가진 금속부품에 비해 45%나 가볍다.

프론트엔드서포트에 적용할 경우 무게는 금속부품 대비 30% 가벼우면서 충돌성능, 비틀림 강성이 우수한 부품을 만들 수 있다.

최근에는 테펙스가 세계 유명 전기스포츠카 부품으로 적용되기도 했다.

독일 자동차부품사‘ 보게엘라스트메탈(BOGE Elastmetall GmbH)‘과 함께 개발한 브레이크페달은 전기스포츠카 최초로 부품전체를 오직 플라스틱만으로 제작한 사례로, 높은 강성과 가벼운 무게를 동시에 만족시켰다.

이외에도 랑세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에어백 하우징, 앞범퍼 안쪽 프론트엔드 등 핵심 안전부품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기존의 금속소재 대비 비용상승이 거의 없거나 적기 때문에 차량 경량화와 안전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소재로 자리잡고 있으며, 미래 잠재력과 활용도 무궁무진하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앞으로 전기차 등 미래형 이동수단 뿐만 아니라 전기충전시설 같은 인프라에도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블룸버그NEF(BNEF)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소는 2040년 전 세계 예상수요가 2억9천만개에 달할 정도로 높은 성장이 예상되는 분야다.

전기차충전케이블 및 플러그는 극심한 수준의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높은 안전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랑세스의 듀레탄과 포칸은 내열거동, 치수안정성, 뒤틀림, 강성 및 하중지지용량 등 뛰어난 물성 덕분에 충전인프라 부품 제조사들이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유명 자동차제조사들과 협력사,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이 새로운 솔루션을 선보이며 뉴모빌리티의 완성을 앞당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혁신을 향한 프로젝트들 덕에 이동수단과 인프라를 완성하는 소재의 다양성 역시 높아지고 있는 만큼,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이 자동차의 금속부품 등을 대체하는 속도 또한 한층가속화될 전망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