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수입차, 돈 되는 판금·도장 車 잡기 혈안…지방서 서울까지 장거리 탁송 이유는?

  • 기사입력 2014.08.28 15:32
  • 최종수정 2014.09.01 14:30
  • 기자명 신승영 기자

[오토데일리 신승영 기자] 최근 수입차 업계의 서비스 네트워크 확장을 두고 ‘빛 좋은 개살구’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단순한 경정비 중심의 서비스 네트워크 숫자 늘리기에만 급급하다는 지적이다.
 
# 지난해 독일차를 구매한 김모씨는 최근 가벼운 접촉 사고를 겪었다. 경북 안동에 거주하는 그는 서울에서 차량을 구매했으며, 대구에 위치한 공식 서비스센터에 앞범퍼 및 도어 수리를 맡겼다. 김모씨는 평소 ‘수입차 수리비가 비싸다’는 말을 익히 들어왔지만, 생각 이상으로 높은 수리비에 놀랐다. 그는 동일한 차량을 운전하는 친척의 말을 듣고 자신의 수리비가 과다하게 책정됐다고 결론을 내렸다. 앞서 범퍼 및 도어 판금·도장 수리를 했던 친척과 비교해 수리기간은 4일이나 더 소요됐고 수리비도 1.5배 이상 높았기 때문이다. 김모씨와 친척은 거주지가 지방과 서울이란 것 외에 차이가 없었다.
 
수입차 판금 및 도장(Body·Paint, B/P), 그리고 사고 수리는 지역에 따라 비용과 시간에 차이를 보였다. 지방에 거주하는 수입차 고객이 겪는 부당 사례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눠졌다.
 
먼저 서비스지역 범위가 넓은 서비스센터는 밀려있는 정비 수리로 인해 대기시간이 매우 길었다. 이 경우 고객들의 불편함은 물론, 대차 서비스 비용과 보험 할증 부담이 높았다. 
 
지난해 새정치민주연합 민병두 의원 등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BMW·메르세데스-벤츠·아우디·폭스바겐 등 독일차 4사의 평균 보험지급금(2012년 기준)은 331만1000원이다. 이중 36%(119만6000원)가 보험대차 렌트비로 사용됐다. 국산차보다 세 배 이상 높을 뿐만 아니라 수리비보다 대차 렌트비가 더 많은 경우도 부지기수였다. 
 
정비 마진이 높다보니 일부 수입차 서비스센터에서는 수리 물량이 적체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서비스센터로 보내지 않는 욕심을 부렸다. 
 
이어 공임 및 부품값 등 수리비 외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사례도 많았다. 딜러사가 지방에서 소화하지 못한 정비 물량을 서울 등 수도권 계열 서비스센터에서 수리했다. 이 경우 차량 운송 및 보관료 등이 발생했다. 추가비용은 소비자가 모두 부담했다.
 
판금 및 도장이 가능한 수입차 정비공장은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에 절반 이상이 집중되어 있다(아래 표 참조). 수도권 내 정비공장은 일일 정비 대수도 많고 야간 및 주말 운영까지 하고 있기 때문에 지방에서 올라오는 물량이 상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외 비공식 협력 서비스센터로 수리가 맡겨져 서비스 품질이 떨어지는 경우도 잦았다. 서비스 네트워크가 형성되지 않은 일부 지역의 경우, 전시장에서 정비수리를 접수받아 시외곽이나 주변 협력 서비스센터로 보냈다. 일부 사례에서 도장 부위가 변색되거나 대체 부품을 사용하는 문제가 발견됐다. 
 
‘지역별로 수입차 수리비가 다르다’는 것, 특히 지방 고객들의 부담이 크다는 점은 그 동안 수입차 업체들이 양적 서비스 확대에만 집중했기 때문이다 
 
BMW는 전국 41개 서비스센터에 718개 워크베이를 갖추고 있다. 수입차 1위 브랜드에 걸맞는 규모이지만, 판금·도장 워크베이는 230개(32.0%)에 불과하다. 
 
24개 서비스센터를 보유한 아우디도 워크베이 298개 중 판금·도장이 가능한 워크베이가 103개(34.6%)에 불과했다. 폭스바겐도 서비스센터 28개, 워크베이 324개 등 꾸준히 규모를 늘리고 있지만 판금·도장 워크베이는 129개(39.8%) 뿐이다. 
 
독일차 4사 중 메르세데스-벤츠(서비스센터 33개)가 및 워크베이(512개) 대비 판금·도장 워크베이(225개43.9%) 비중이 가장 높았다. 
 
그나마 독일차 4사는 판금·도장이 가능한 워크베이 수가 100개 이상에 달했고 그 비중도 전체 30%를 넘었다. 반면, 양과 질 모두 기대 이하인 수입차 브랜드가 상당수에 달했다.
   
한편, 딜러사 정비 관계자들은 “여러모로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압박과 부담이 크다”며 “수입사의 적극적인 지원이나 양보 없이 서비스 질적 성장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고 수입사에게 책임을 넘겼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