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배터리 부수고 물에 담그고. 화재도 재현’...친환경차 안전 테스트장 [KATRI 친환경차 부품인증센터]

  • 기사입력 2021.11.21 12:00
  • 기자명 이상원 기자
자동차안전연구원 배터리 충격테스트 장면

[광주 빛그린산단= M 오토데일리 이상원기자] 최근 전기차 등 친환경차 보급 확대로 친환경차의 안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 가장 많이 보급된 현대자동차 코나 EV와 쉐보레 볼트 EV가 배터리 화재로 인해 대규모 리콜을 실시하면서 배터리 안전이 친환경차 보급의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는 코나 EV 화재 사고 이후 배터리로 인한 전기차 화재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지난 7월부터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안전기준이 대폭 강화했다.

2022년 완공될 자동차안전연구원 친환경차 부품인증센터 전경

전기차용 배터리 제작과정에서 시행하는 테스트 항목을 기존 연소, 단락, 과충전, 열노출, 액중투입, 낙하 안전 등 7개 항목 외에 진동시험, 열충격 시험, 과방전시험, 과열방지시험, 과전류시험, 침수시험, 기계적 충격시험, 기계적 압착시험 등 12개 항목으로 늘렸다.

코나 EV 화재에서 드러난 과열, 과방전, 과전류 문제와 테슬라 모델3 결함에서 나타난 기계적 충격 및 압착문제 등 지금까지 검증되지 않았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배터리 셀 제조업체들은 배터리 제작시 이들 12개 항목의 테스트를 반드시 거친 후 제작해야 하며 만약 사후 제작검증에서 이를 위반한 사실이 발견되면 과태료 부과 등의 처벌을 받게 된다.

전기차와 배터리 셀이 제대로 만들어졌는지, 장착된 배터리와 부품들이 정해진 항목의 테스트를 거쳐 제작됐는지 등 결함여부에 대한 검증과 조사업무는 정부의 몫이다.

국토교통부로부터 자동차 안전업무를 위탁 수행하고 있는 교통안전국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차 부품인증센터’를 만들고 있다.

배터리 충격시험실

지난해 8월 착공, 전남 광주 빛그린산업단지 내에 조성되고 있는 친환경차 부품인증센터는 주요 테스트 장비들이 속속 갖춰지고 있는 등 현재 전체 공정의 80% 가량이 진행됐다.

총 390억 원이 투입되는 이 인증센터는 29,916㎡ 부지에 배터리시험동, 충돌시험동, 충격시험동 등 3개 동으로 구성되며 친환경차 배터리 평가 장비 6종, 충돌 안전성 평가 장비 7종, 충격 안전성 평가 10종, 화재 재현장비 및 법적 부대장비 3종 등 총 26종이 2022년까지 갖춰질 예정이다.

특히, 배터리 시험동은 8개 시험실로 구성되며 이 가운데 4개가 배터리 화재 및 폭발에 대비한 방폭구조로 갖춰진다.

또, 최대 2톤 규모의 전기버스 배터리 시험이 가능한 진동시험기 및 충격시험기가 설치되고 배터리 침수 시 안전성을 평가하는 침수 및 압착시험기도 갖춰진다.

배터리 침수시험실

센터의 핵심시설인 충돌시험동은 친환경차의 충돌시 승객보호, 고전원 배터리의 안전성 등을 시험할 수 있도록 국내외 안전기준에서 정한 다양한 시험이 가능하며, 초소형 전기차부터 총중량 3.5톤 이하까지 다양한 친환경차의 충돌안전성을 연구하기 위해 차대차 충돌시험과 충돌속도(100km/h)를 구현할 수 있는 시험시설이 갖춰진다.

충격시험동은 전기차와 같은 친환경차 전용 플랫폼의 차체 강도를 평가하게 되는데, 내부충격시험실 등 8개 시험실로 구성되며 옆문. 천정강도 시험장비 등 운전자의 안전 보장을 위한 부품의 구조 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시험시설이 갖춰진다.

배터리 낙하시험실

배터리시험동은 이달부터 본격 가동을 시작하며, 충돌 및 충격시험실은 2022년부터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자동차안전연구원 류익희 원장은 “내년 하반기에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화재시험챔버를 갖춰 전기차 및 버스 단위의 실차화재시험을 수행할 예정이며, 이를 바탕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전기자동차 안전성 인증기관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친환경자동차 부품인증센터는 첨단시설과 장비를 갖추지만 이를 운용할 전문 인력 확보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배터리 압착시험싱

연구원은 배터리나 연료전지를 담당하는 전문 인력들의 급여수준이 현재 인력보다 크게 높지만 정부 지원은 기존 수준에 맞춰져 있어 경험있는 전문가를 영입하기가 쉽지 않아 어려움이 많다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토로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