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정부, 2030년 전기·수소차시장 세계 1위...미래차 투자계획 발표

  • 기사입력 2019.10.15 16:00
  • 최종수정 2019.10.15 17:39
  • 기자명 박상우 기자

[M오토데일리 박상우 기자]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세계 전기·수소차 시장 점유율을 10%까지 끌어올려 1위에 오른다는 야심찬 목표를 제시했다.

15일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에서 문재인대통령과 정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관계부처 합동으로 ‘미래자동차산업 발전전략’ 및 ‘2030년 국가 로드맵’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날 전기·수소차 세계시장 점유율 10%를 달성, 이 부문 세계 1위에 오른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또 신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전기·수소차 판매비중을 현재의 2.6%에서 2020년 4.9%, 2022년 9.9%, 2025년 18.3%, 2030년 33.3%로 높여 나가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2019년 전기차 4만2천대, 수소차 6천대에서 2020년 7만8천대와 1만대, 2022년 15만3천대. 2만5천대, 2025년 27만대. 6만대, 그리고 2030년 44만대. 16만대를 판매, 누적대수로 300만대와 85만대를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전비(電比, kWh 당 주행거리), 주행거리 등 성능 중심으로 보조금을 개편해 국산 전기차의 고효율화 및 성능향상 유도, 한번 충전으로 운행 가능한 주행거리를 600km로 확대하고 충전속도는 현재보다 3배 수준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수소차의 경우 내구성을 50만km로 강화하고 부품을 모두 국산화로 전환한다. 또 차세대 연료전지시스템을 개발해 2025년까지 수소전기차의 판매가격을 4천만원대로 낮춘다.

한국을 친환경차 생산기지로 육성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글로벌 완성차업체가 친환경차 생산투자를 진행할 경우 산업부는 부품기업 기술개발을, 지자체는 공장부지 제공 등을 통해 지원한다.

2030년 이후에도 내연기관차가 수출과 내수시장에서 큰 역할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배기가스를 획기적으로 저감한 신형엔진, 하이브리드 시스템 효율 개선,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개발 등을 추진한다.

친환경차 국내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생산규모, 배터리·수소연료전지 가격 성능 등 시장상황, 미래차 경쟁력 등을 감안해 2022년 이후부터 지급 여부 수준을 검토한다.

전기·수소차 대상 개별소비세 및 취득세 세제지원 연장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현재 전기·수소차를 구입할 경우 개별소비세는 2022년까지, 취득세는 2021년까지 감면혜택을 주고 있다.

 (앞줄 왼쪽 4번째부터) 이재명 경기도지사,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문재인 대통령,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등이 수출형 수소전기트럭 및 수소전기청소트럭을 배경으로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편의성과 경제성을 고려해 친환경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수소 충전소는 2030년까지 주요도시에서 20분 내에 도달이 가능하도록 확대하고 이 때까지 660기를 설치할 방침이다.

전기차 충전기는 2025년까지 1만5천기를 마련한다. 특히 공동주택 및 대형마트, 주유소, 고속도로 휴게소 등을 중심으로 매년 1,500기 이상 구축한다.

이와 함께 2027년까지 전국 주요도로의 완전자율주행(레벨4)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현재 레벨2 수준인 자율주행을 2021년 레벨3, 2024년 레벨4 일부 상용화, 그리고 2027년에는 레벨4 수준을 전국적으로 상용화한다는 것이다.

또, 친환경차 기술력과 국내보급 가속화를 기반으로 세계시장도 적극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완전자율주행 관련 법제도 및 인프라(주요도로)를 2024년까지 완비하고 민간투자 60조 원을 기반으로 개방형 미래차 생태계로 신속하게 전환한다는 것이다.

미래차 서비스는 커넥티드 정보서비스, 자율주행 이동서비스, 신 교통수단 서비스 등을 통해 확산할 계획이다.

커넥티드 정보서비스는 완성차업체가 보유한 차량 데이터를 모든 서비스 개발 기업을 대상으로 전면 공개를 추진한다.

비식별화 등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 자율주행차 상용화 시 다양한 커넥티드 서비스가 가능한 통신요금제를 검토한다.

미래차를 활용한 민간 주도 3대 서비스, 공공수요 기반 9대 공공서비스를 중심으로 규제특례를 적극 활용해 서비스 시범운행을 추진한다.

플라잉카 서비스의 실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고출력 모터 등 핵심기술을 2023년까지 우선 확보하고 플라잉카 전용도로 확보·자동경로 설정 등 교통체계 기반기술을 2022년까지 개발할 방침이다.

항공기 수준의 제작, 인증, 운항, 유지관리 등 안전기준 제·개정과 시범운행 등 안전성 실증을 거쳐 여객서비스 활성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